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전망과 투자전략 총정리

by 알꽤도 2025. 11. 11.

2025년 8월, 비트코인이 드디어 사상 최고가 1.6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제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가상화폐가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하나의 ‘주요 자산으로 완전히 자리 잡아 나가고 있는데요.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3,000조 원, 이는 삼성전자(약 460조)의 6배 이상에 달하는 규모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합친 것보다도 훨씬 큽니다.

예전엔 “그거 도박 아니냐?”던 분위기였지만, 이제는 블랙록(BlackRock) 같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까지

현물 ETF를 내놓으며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잡았죠.

 비트코인, 왜 ‘디지털 금’이라 불릴까?

비트코인의 가장 큰 특징은 ‘희소성’입니다.
비트코인은 처음부터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건 중앙은행이 마음대로 찍어내는 화폐와 완전히 다릅니다.

  • 약 10분마다 새로운 블록이 채굴되며,
  • 채굴 보상으로 시장에 비트코인이 공급됨
  • 전체 발행량의 약 95%가 이미 채굴 완료

즉, 시장에 새로 풀릴 코인은 거의 남지 않았습니다.
시장경제 논리에 따라서 공급이 줄고 수요가 늘면? 가치는 당연히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흔히 ‘디지털 금’이라고 부릅니다.

 

반감기(Halving)란? — 4년에 한 번 오는 희소성 강화 이벤트

비트코인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가 바로 ‘반감기’입니다.
이는 약 4년 주기로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점을 말합니다.

 

반감기 차수 연도 채굴 보상(블록당) 가격 변화
1차 2012 50 → 25 BTC 약 100배 상승
2차 2016 25 → 12.5 BTC 약 30배 상승
3차 2020 12.5 → 6.25 BTC 약 8배 상승
4차 2024 6.25 → 3.125 BTC 현재 진행 중

2024년 4월 반감기 이후 채굴 보상은 3.125BTC로 줄었고, 이는 공급량 감소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을 만들게 됩니다.

물론 시장 규모가 커진 만큼 과거처럼 ‘100배 상승’은 어렵겠지만, 공급 감소는 결국 수급 구조상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도미넌스(Dominance)로 시장 흐름 읽기

비트코인 도미넌스란,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 중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현재 도미넌스는 약 57% 수준, 즉 전체 코인 시장 100만 원 중 57만 원이 비트코인에 집중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도미넌스 상승 ↗️ 도미넌스 하락 ↘️
비트코인으로 자금 집중 알트코인으로 자금 분산
시장 안정, 보수적 흐름 위험자산 선호, 알트코인 시즌 가능성
BTC 중심 상승 ETH, SOL, XRP 등 순환 매수 발생
 과거 불장(2021년)에는 도미넌스가 70%를 넘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이 지표는 시장 내 자금의 방향성을 알려주는 나침반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지금 비트코인 차트는 어디쯤일까?

현재(2025년 기준) 비트코인은 1.6억 원을 찍고 미국 셧다운 때문에 계속 하락해서 현재 업비트 기준 1.55억 원대에서 거래 중입니다.

차트상 주요 지지선은 1.1억~1.2억 원대, 이 구간은 큰손(기관·고래)들이 매수세를 유입시키는 오더블록(매집 구간)으로 보고 있습니다.

 

만약 이 구간이 지켜진다면 → 에너지를 모아 1.6억 돌파 재도전 가능성

반대로 이 구간이 무너지면→ 하락 갭(공백)을 채우기 위한 조정 가능성 존재

 

즉, 지금은 추격 매수보다 전략적 분할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발행량, 도미넌스, 차트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아보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한 생각을 나누어 보았는데요, 

이런 흐름을 읽고 자신만의 투자원칙을 세워서 투자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점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는 걸 명심하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모두 돈 많이 버시고 성투하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