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나 단기 근로를 하시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나요?입니다.
많은 분들이 받지 못하고 넘어가지만, 주휴수당은 정당한 권리입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 조건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1주일 개근 시,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을 더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가 주 1회 쉬는 날에도 하루치 임금을 받는 것입니다.
📌 근거: 근로기준법 제55조
주 15시간 이상 근무 + 1주 개근 시 지급 대상
주휴수당 계산하는 공식
🔸 주휴수당 계산 공식
[1일 통상임금] × [주휴수당 유급휴일 수]
즉, 시급 × 1일 근로시간이 주휴수당이 됩니다.
즉, 실제 일한 날 외에 주휴일 1일치 임금이 더해져 급여에 포함됩니다!
주휴수당 조건, 꼭 확인하세요
항목 | 조건 |
근무시간 | 주 15시간 이상 |
근무일수 | 1주일 내 개근 (무단결근 없을 것) |
근무형태 | 시급제, 일급제, 월급제 모두 해당 |
⚠️ 주 14시간 이하 근무자는 해당 없음
⚠️ 무단결근 시 주휴수당 지급 제외
주휴수당 지급일과 통상적인 급여 포함 여부
- 주휴수당은 급여일에 포함되어 지급되는 것이 원칙
- 따로 청구하지 않아도 되지만, 미지급 시 소급 청구 가능
💡 만약 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았다면?
→ 고용노동부에 진정 가능하며, 최대 3년까지 소급 청구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이런 경우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 파트타이머, 학생 알바도 해당
- 시급이 높거나 낮아도 무관
- 계약직/단기직도 주 15시간 이상 + 개근이면 가능
마무리: 주휴수당, 몰라서 못 받지 마세요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2025년에도 시급제 근로자라면 주휴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당한 수당을 꼭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