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 한 끼 1만 원이 기본인 시대입니다.
정부가 2026년부터 산업단지·인구감소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식비 지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어요.
이름하여 “직장인 든든한 한끼”.
핵심은 점심 외식 20% 환급(월 최대 4만 원)과 아침 1천 원 식사 모델 확대입니다.
여기에 더해 인구감소지역 주민에게 월 15만 원 기본소득을 주는 시범사업도 함께 추진됩니다.
한눈에 보는 지원 틀
정책 | 대상 | 지원 내용 | 방식/시기 |
직장인 든든한 한끼 –점심값 환급 |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근로자 약 5.4만 명(시범) | 점심 외식 20% 환급, 월 최대 4만 원 | 2026년 시범, 카드사 자동 적용 목표 |
직장인 든든한 한끼 – 1천 원 아침밥 |
산업단지·인구감소지역 근로자 | 단가 5천 원 → 근로자 1천 원 결제 | 정부·지자체·기업 분담 |
인구감소지역 기본소득(시범) | 인구감소지역 주민 약 24만 명 | 월 15만 원 지급 | 2026년부터 순차 시행 |
신청 자격·조건 체크리스트
- 근무지가 인구감소지역에 위치
- 중소기업 재직자 (사업자등록·고용보험 확인)
- 점심시간(11~15시) 외식업종 카드 결제
- 월 최대 4만 원 상한 적용
수도권 대기업 근로자는 기본적으로 제외됩니다. 정책 목적이 지역 소멸 대응 + 근로환경 보완에 있기 때문이에요.
신청 방법
- 대상자 등록
- 회사 인사팀 또는 개인이 지자체/부처 포털에서 근무지·재직 인증
- 카드 연동
- 지정 신용/체크카드 등록 → 외식 결제 시 자동 환급
- 이용 & 환급
- 점심시간 외식업종 결제 → 20% 환급 (월 최대 4만 원)
- 아침 1천 원 식사
- 참여 식당·사내식당에서 1천 원 결제, 나머지는 정부·지자체·기업 분담
실제 방식은 시범 지침과 지자체 공고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1. 편의점 도시락·배달앱도 환급되나요?
➡ 업종 코드(MCC)가 외식업으로 분류돼야 합니다. 초기엔 오프라인 외식 중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사내식당도 해당되나요?
➡ 별도 협약이 있으면 1천 원 아침밥 모델로 연계 가능합니다.
Q3. 이직·전출하면 어떻게 되나요?
➡ 근무지 기준입니다. 인구감소지역 소재 중소기업 재직 요건을 충족하면 계속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 점심 12,000원 × 20회 = 240,000원 → 20% 환급 = 48,000원이지만 월 상한 40,000원 적용
- 아침 5,000원짜리 식사 × 20회 = 100,000원 → 근로자 부담 20,000원, 80,000원 절감
월 최대 12만 원 내외 절감 효과
연계되는 정책
-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산업단지 근로자까지 확산
- 인구감소지역 기본소득(시범): 주민 1인당 월 15만 원 지급(지역화폐 등 가능)
정리: 준비 포인트
- 내 회사가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인지 확인
- 대상자 등록 → 카드 등록 후 외식 위주 사용
- 아침은 1천 원 결제 지정 식당 이용
- 지자체 공고·회사 인사팀 안내를 수시로 확인
마무리
직장인 든든한 한끼는 물가 부담을 낮추고, 지역 식당 매출과 농산물 소비를 살리는 다목적 정책입니다.
대상자라면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내 회사가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지자체 공고·회사 인사팀을 통해 가장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점심값 환급·아침밥 지원 놓치지 않으려면? 미리 카드를 정리하고 공고 뜨면 바로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