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부터 최저시급이 10,320원으로 인상됩니다. 드디어 시급 1만원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셈인데요.
하지만 실제 월급으로 받는 금액, 그리고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알바생, 근로자, 구직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 2026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
✔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 주휴수당 계산법과 조건
까지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
2026년 최저임금은 다음과 같이 인상됩니다.
- 2025년: 10,030원
 - 2026년: 10,320원 (전년 대비 2.9% 인상)
 
물가 상승률과 생활비 부담을 고려하면 다소 아쉬운 인상폭이지만, 법정 최저임금은 근로자 보호의 기본이니 꼭 체크해두셔야 합니다.

최저시급 기준 월급 계산 (209시간 기준)
월급 기준 공식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209시간은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평균 근무시간으로 계산
(주 5일 × 하루 8시간 + 주휴 8시간) × 4.34주 = 209시간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구조일 경우 실 근무시간 기준 174시간 → 월급 약 1,795,680원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실수령액은 월급에서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과 소득세, 지방세 등을 공제한 후 남는 금액입니다.
| 구분 | 금액(예상) | 
| 총 월급 | 2,156,880원 | 
| 공제액(약 13~14%) | 약 160,000~180,000원 | 
| 실수령액 | 1,975,000원 ~ 1,990,000원 | 
※개인별 세금 납부 조건, 가족 수,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계산법과 조건 정리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가 1주일 개근 시 추가로 받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1주일 모두 출근한 경우
 - 지속적인 근로 계약이 있을 것
 
주급 계산 예시 (2026년 기준)
- 시급: 10,320원
 -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시
→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 8시간 = 48시간
→ 10,320원 × 48시간 = 495,360원 (주급) 
월급 기준 연봉으로 환산하면?
- 세전 연봉: 2,156,880원 × 12개월 = 약 2,588만원
 - 실수령 연봉: 약 2,370만원 전후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
일부 자영업자나 아르바이트 환경에서는 주휴수당을 피하기 위해 주 15시간 미만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명백한 편법 근로계약 유도이며,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주휴수당이 빠져 있다면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마무리: 최저임금만 믿기 어려운 시대
2026년 최저시급이 1만원을 넘겼지만, 실수령액은 여전히 200만원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치솟는 외식비, 생활물가, 고정 지출을 고려하면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하기도 빠듯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많은 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